부동산외 재테크(주식 등)

육아휴직급여 최대 수령액: 1년과 6개월 연장 시 얼마나 받을까?

master JYP 2025. 3. 31. 12:11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육아휴직을 계획 중인 부모님들께 꼭 필요한 정보, 육아휴직급여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2025년부터 정책이 크게 바뀌면서 기본 1년 동안 받을 수 있는 최대 금액과 6개월 연장 시 추가로 받는 금액이 달라졌어요. 복잡할 수 있는 내용을 도표와 사례로 쉽게 풀어볼 테니 천천히 따라와 보세요!

육아휴직급여 기본: 1년 동안 얼마나 받나?

육아휴직은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를 둔 근로자가 자녀 양육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제도예요. 기본적으로 자녀 1명당 부모 각각 최대 1년까지 가능하고, 2025년 3월 기준으로 고용노동부 정책에 따라 급여가 지원됩니다.

2025년 급여 상한액과 계산 방식

2025년 1월 1일부터 육아휴직급여 상한액이 인상되고, 사후지급금(25%)이 폐지돼 휴직 기간 동안 전액 지급됩니다. 기본 급여는 통상임금의 80%로 계산되지만, 처음 6개월은 통상임금 100%가 적용되며, 상한액은 아래와 같아요:

  • 1~3개월: 통상임금 100%, 월 최대 250만 원
  • 4~6개월: 통상임금 100%, 월 최대 200만 원
  • 7~12개월: 통상임금 80%, 월 최대 160만 원

예를 들어, 통상임금이 월 400만 원인 근로자가 1년 육아휴직을 사용하면:

  • 1~3개월: 250만 원 × 3 = 750만 원 (400만 원의 100%는 400만 원이지만 상한 적용)
  • 4~6개월: 200만 원 × 3 = 600만 원 (400만 원의 100%는 400만 원이지만 상한 적용)
  • 7~12개월: 160만 원 × 6 = 960만 원 (400만 원의 80%는 320만 원이지만 상한 적용)
  • 총액: 750만 원 + 600만 원 + 960만 원 = 2,310만 원

즉, 기본 1년 동안 최대 2,310만 원을 받습니다.

6+6 부모육아휴직제: 부부가 함께 쓰면 더 많이

부모가 자녀 생후 18개월 이내에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육아휴직을 사용하면, 첫 6개월 동안 급여가 더 높아지는 6+6 부모육아휴직제가 적용됩니다. 상한액은 아래와 같아요:

  • 1개월: 250만 원
  • 2개월: 250만 원
  • 3개월: 300만 원
  • 4개월: 350만 원
  • 5개월: 400만 원
  • 6개월: 450만 원

통상임금 500만 원인 부부가 각각 6개월씩 사용하면:

  • 한 사람당: 250 + 250 + 300 + 350 + 400 + 450 = 2,000만 원
  • 부부 합계: 2,000만 원 × 2 = 4,000만 원

1년을 채우면 나머지 6개월은 월 160만 원:

  • 160만 원 × 6 = 960만 원
  • 한 사람당 총액: 2,000만 원 + 960만 원 = 2,960만 원
  • 부부 합계: 2,960만 원 × 2 = 5,920만 원

도표로 정리하면:

기간 기본 육아휴직 (월 상한액) 6+6 제도 (월 상한액)
1~3개월 250만 원 250만 원 (1~2), 300만 원 (3)
4~6개월 200만 원 350만 원 (4), 400만 원 (5), 450만 원 (6)
7~12개월 160만 원 160만 원

6개월 연장: 최대 1년 6개월 가능?

2025년 2월 23일부터 시행되는 육아지원 3법에 따라,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 육아휴직이 1년에서 1년 6개월로 연장됩니다. 맞벌이 부부라면 합쳐서 최대 3년까지 가능해요.

연장 조건

6개월 연장은 다음 경우에 적용됩니다:

  1. 부모가 각각 3개월 이상 육아휴직을 사용한 경우
  2. 한부모 가정
  3. 중증 장애아동을 둔 부모

예: 아빠가 3개월, 엄마가 1년 사용 후 조건 충족 시 엄마가 6개월 추가 가능.

1년 6개월 최대 수령액

추가 6개월은 통상임금의 80%, 상한액 160만 원이 적용됩니다. 통상임금 400만 원 기준:

  • 기본 1년: 2,310만 원
  • 추가 6개월: 160만 원 × 6 = 960만 원
  • 총액: 2,310만 원 + 960만 원 = 3,270만 원

6+6 제도를 활용하면:

  • 첫 6개월: 2,000만 원
  • 7~12개월: 160만 원 × 6 = 960만 원
  • 추가 6개월: 160만 원 × 6 = 960만 원
  • 총액: 2,000만 원 + 960만 원 + 960만 원 = 3,920만 원

부부가 각각 1년 6개월 사용 시:

  • 3,920만 원 × 2 = 7,840만 원

한부모 특례

한부모는 첫 3개월 상한액이 300만 원으로 더 높아요:

  • 1~3개월: 300만 원 × 3 = 900만 원
  • 4~6개월: 200만 원 × 3 = 600만 원
  • 7~12개월: 160만 원 × 6 = 960만 원
  • 추가 6개월: 160만 원 × 6 = 960만 원
  • 총액: 900만 원 + 600만 원 + 960만 원 + 960만 원 = 3,420만 원

실제 사례: 현실적으로 계산해보기

사례 1: 맞벌이 부부

  • 통상임금: 각각 450만 원
  • 아빠 6개월 (6+6), 엄마 1년 6개월 (6+6 + 연장)
  • 아빠: 2,000만 원
  • 엄마: 2,000만 원 (6개월) + 960만 원 (6개월) + 960만 원 (6개월) = 3,920만 원
  • 총액: 2,000만 원 + 3,920만 원 = 5,920만 원

사례 2: 한부모

  • 통상임금: 350만 원
  • 1년 6개월 사용
  • 1~3개월: 300만 원 × 3 = 900만 원
  • 4~6개월: 200만 원 × 3 = 600만 원
  • 7~18개월: 160만 원 × 12 = 1,920만 원
  • 총액: 900만 원 + 600만 원 + 1,920만 원 = 3,420만 원

쉽게 이해하는 Q&A

Q: 6개월 연장은 언제부터 신청 가능하나요?

A: 2025년 2월 23일 이후부터요. 1년을 이미 사용했어도 조건 충족 시 추가 6개월 신청 가능합니다.

Q: 6+6 제도는 꼭 동시에 써야 하나요?

A: 아니요, 생후 18개월 내에 순차적으로 사용해도 적용됩니다.

마무리하며

2025년부터 육아휴직급여는 기본 1년 최대 2,310만 원, 6+6 제도 활용 시 2,960만 원, 6개월 연장까지 하면 최대 3,92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어요. 한부모는 3,420만 원, 부부 합산으로는 최대 7,840만 원까지 가능합니다. 정책이 더 좋아졌으니, 육아 계획 잘 세워보세요! 궁금한 점 있으면 댓글로 물어보세요!


네이버 핫키워드 연관검색어

육아휴직급여, 육아휴직 1년 6개월, 6+6 부모육아휴직, 최대 수령액, 육아지원 3법, 월 250만 원, 사후지급 폐지, 통상임금 80%, 한부모 지원, 맞벌이 육아휴직, 고용보험법, 육아휴직 신청, 2025 정책, 일가정 양립, 부모 육아휴직 연장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