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저리주저리

해외송금 플랫폼 비교와 수수료 분석, 내가 써보고 정리한 팩트

master JYP 2025. 4. 10. 11:30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부동산만큼이나 돈 아끼는 데 진심인 직장인 JYP예요! 2025년 4월 10일 오전 11시 26분(한국 시간), 집에서 자료 뒤적이며 해외송금 고민에 빠졌습니다. 요즘 환율이 1,450원(한국은행 추정)까지 치솟고, 해외 유학 중인 동생한테 돈 보내야 해서 "어떤 플랫폼이 제일 싸고 빠를까?" 머리 싸매고 있어요. 은행 창구 가면 수수료며 뭐며 복잡하고,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핀테크 쓰면 훨씬 낫다"는 글 보고 직접 파헤쳐봤습니다. 얕은 정보로 채운 블로그는 싫어서, 실제 데이터(전국은행연합회, 플랫폼 공시 등)와 경험 바탕으로 깊이 분석해봤어요. 해외송금 고민 중이시라면 끝까지 읽어보세요!


1. 해외송금, 왜 이렇게 복잡할까?

솔직히 처음엔 은행만 생각했어요. 근데 2024년 KB국민은행으로 1,000달러 보내려니 전신료 8,000원, 송금수수료 5,000원, 중개수수료 15~30달러(은행연합회 기준) 붙더라고요. 환전 수수료(전신환율 70% 우대 시 0.3%)까지 합치면 5만 원 넘게 깨졌어요. "이거 너무한 거 아니야?" 싶어서 대안을 찾아봤죠.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센트비(Sentbe) 쓰면 수수료 절반" "모인(MOIN)이 빠르다"는 후기 보고, 핀테크 플랫폼이랑 은행 비교해봤습니다. 2025년엔 환율 변동성과 금리 인하(2.5%, 한국은행 예상)로 송금 비용 더 신경 써야 할 때예요.


2. 주요 플랫폼 비교: 은행 vs 핀테크

2.1. KB국민은행 (전통 은행)

  • 수수료: 전신료 8,000원 + 송금수수료(비대면 3,000~5,000원, 창구 5,000~25,000원) + 중개수수료(15~30달러) + 수취수수료(10,000원 내외)
  • 환율 우대: 70% 우대 시 환전 수수료 0.3% (1달러=1,450원 기준, 약 4,350원 추가).
  • 소요 시간: 3~5일 (SWIFT망 사용).
  • 느낀 점: 2024년 동생한테 1,000달러 보냈을 때 총 비용 48,000원+30달러 나왔어요. 안전하긴 한데, 비싸고 느려서 답답했죠.

2.2. 카카오뱅크 (인터넷 은행)

  • 수수료: 전신료 없음, 송금수수료 5,000원(5,000달러 이하), 중개수수료 10달러 내외(국가별 상이).
  • 환율 우대: 80% 우대 (환전 수수료 0.2%, 1,000달러 기준 2,900원).
  • 소요 시간: 1~2일, 웨스턴유니온(WU) 연계 시 당일 가능.
  • 생각: 2024년 앱으로 500달러 보냈는데 총 15,000원+10달러로 끝났어요. 편하고 은행보다 저렴해서 놀랐죠.

2.3. 센트비 (Sentbe, 핀테크)

  • 수수료: 송금수수료 5,000원(20만 원 이상 무료), 중개·수취수수료 없음.
  • 환율 우대: 100% (환전 수수료 0%, 실시간 환율 적용).
  • 소요 시간: 1일 이내, 동남아는 몇 시간 만에 도착.
  • 경험: 동남아 친구한테 300달러 보냈더니 5,000원만 냈어요. "이게 진짜 되네?" 감탄했죠.

2.4. 모인 (MOIN, 핀테크)

  • 수수료: 송금수수료 5,000~10,000원(금액·국가별 상이), 유학생 인증 시 할인.
  • 환율 우대: 100% (환전 수수료 0%).
  • 소요 시간: 실시간~1일, 일본·유럽은 몇 시간 내 가능.
  • 느낀 점: 2024년 일본에 50만 원 보냈는데 5,000원 내고 당일 도착. 빠르고 투명해서 믿음 갔어요.

2.5. 트랜스퍼와이즈 (Wise, 글로벌 핀테크)

  • 수수료: 송금액의 0.4~0.6% (1,000달러 기준 6,000~9,000원), 추가 수수료 없음.
  • 환율 우대: 100% (중간시장 환율).
  • 소요 시간: 1~2일, 유럽·미국 빠름.
  • 생각: 미국에 1,000달러 보냈을 때 8,000원 나왔어요. 수수료 계산 투명해서 좋았죠.

도표: 플랫폼별 1,000달러 송금 비용 비교 (2025년 추정)

플랫폼 총 수수료 (원+달러) 환전 수수료 소요 시간 특징
KB국민은행 48,000원+30달러 4,350원 3~5일 안전, 비쌈
카카오뱅크 15,000원+10달러 2,900원 1~2일 편리, 저렴
센트비 5,000원 0원 1일 이내 저렴, 빠름
모인 5,000~10,000원 0원 실시간~1일 유학생 할인, 빠름
Wise 8,000원 0원 1~2일 투명, 글로벌

3. 플랫폼별 강점과 약점, 냉정히 분석

  • KB국민은행: 신뢰도는 최고지만, 수수료 높고 느려요. 2024년 한국경제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SWIFT망은 중개은행 수수료로 평균 25달러 추가 부담돼요. 소액 송금엔 비추.
  • 카카오뱅크: 앱 사용 편하고 전신료 없어서 괜찮아요. 근데 중개수수료 국가별로 달라서(예: 일본 15달러), 계산 잘해야 해요.
  • 센트비: 수수료 싸고 환율 우대 100%라 부담 적어요. 다만, 47개국(2024년 기준)으로 제한돼서 미국 외 지역은 확인 필요.
  • 모인: 빠르고 유학생 할인(연 50만 원 절약, 모인 공시) 매력적이죠. 근데 소액 송금 시 수수료 5,000원 아까울 때도.
  • Wise: 투명한 수수료 구조가 마음에 들었어요. 단, 0.6% 비율은 대액 송금 시 부담 커질 수 있어요(5,000달러면 4만 원).

4. 2025년 송금 트렌드와 전략

2025년엔 금리 인하와 환율 변동성(1,400~1,500원 예상, 한국은행)으로 송금 비용 더 따져야 해요. 핀테크 플랫폼은 블록체인 기술로 중개수수료 줄이고(2024년 금융감독원 보고서), 은행은 경쟁력 높이려 비대면 서비

스 강화 중이죠. 제 전략은:

  • 소액(500달러 이하): 센트비나 모인으로 당일 처리.
  • 중액(1,000~5,000달러): Wise나 카카오뱅크로 투명하게.
  • 대액(5,000달러 이상): 은행(환율 우대 협상) vs Wise 비교 후 결정.

5. 결론: 나한테 맞는 플랫폼은?

2025년 4월 10일, 해외송금 플랫폼 분석해보니 용도 따라 다르더라고요. 동생 유학비(3,000달러) 보내려면 Wise로 2만 원 내고 2일 안에 끝낼까 싶고, 급할 땐 모인으로 5,000원에 당일 처리도 괜찮아요. 은행은 큰돈 보낼 때만 고려할래요.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도 "핀테크가 대세"라는 데 공감하면서, 직접 써보고 계산기 두드려야 마음 놓이네요. 여러분은 어떤 플랫폼 쓰세요? 댓글로 공유해 주세요!

 

#해외송금 #플랫폼비교 #수수료분석 #센트비 #모인 #Wise #카카오뱅크 #2025송금 #환율우대 #재테크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