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외 재테크(주식 등)

금양, 주권 상장 폐지 이의신청서 제출

master JYP 2025. 4. 10. 18:04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돈 굴리기 좋아하는 평범한 직장인 JYP예요! 2025년 4월 10일 오후 5시 54분(한국 시간), 집에서 노트북 켜고 방금 들어온 소식!! 금양이 주권 상장 폐지 관련 이의신청서를 제출했다는 뉴스예요! 코스피 2,200선(한국거래소), 환율 1,450원(한국은행 추정) 흔들리는 와중에 금양 주주로서 "상폐 피할 수 있을까?" 심장이 쿵쾅거렸거든요. 커뮤니티에서 "금양 이의신청 제출, 4월 11일 마감" "이제라도 반등?" 포스트 보니, 상황 정리할 겸 분석해봤어요. 통계(한국거래소, 금융감독원 등)와 최신 정보로 풀어봤으니, 금양 주주거나 상폐 이슈 관심 있으신 분들 같이 읽고 얘기 나눠요!

 

사실 금양 회장의 주식도 가압류 되면서 이의신청일정에 차질이 빚어질줄 알고 걱정을 많이 했습니다.

불행중 다행으로 하루를 남겨둔 시점에 이의신청서를 제출했네요. 앞으로 더 지켜보자고요.

 


1. 금양 상장 폐지 위기: 어떻게 된 일?

2025년 3월 21일, 금양이 감사보고서에서 ‘의견 거절’을 받으며 상장 폐지 위기에 몰렸어요(매일경제).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 상장규정 제48조에 따르면, 감사의견 거절은 상장 폐지 사유로, 한울회계법인이 "계속기업 존속 불확실성"을 이유로 의견을 거절했죠.

  • 상황: 주가는 2023년 15만 9,100원(최고가)에서 2025년 3월 21일 9,900원으로 93.7%↓(서울경제), 시총 9조 원→6,332억 원.
  • 공시: 3월 21일 거래 정지, 이의신청 마감 4월 11일(한국거래소).
  • 원인: 몽골 광산 실적 부풀리기 논란(2023년), 이차전지 사업 부진(영업손실 429억 원, 2024년).
    그리고 오늘, 4월 10일 금양이 이의신청서를 제출했다는 소식이 터졌어요. "이제라도 살길 열릴까?"

2. 이의신청서 제출: 절차와 의미

2.1. 이의신청이란?

  • 정의: 상장 폐지 사유 발생 시, 기업이 한국거래소에 반박 자료를 제출해 심사 요청하는 절차(유가증권시장 상장규정 제48조).
  • 기한: 거래 정지 후 15일 내, 금양은 4월 11일까지(3월 21일 기준).
  • 절차: 이의신청서 제출 → 기업심사위원회 심사(15일 내) → 상장 유지/폐지 결정(한국거래소).
    "금양이 막판에 제출한 거 보니, 끝까지 버텨보겠다는 의지네."

2.2. 금양의 전략은?

  • 주장 예상: "계속기업 가능성 있다" 강조. 몽골 광산 실적 논란 해명, 이차전지 공정 완공 계획(한울회계법인 지적 대응).
  • 증빙: 재무 개선 계획, 투자 유치 약정, 자금 조달 자료 제출 가능성.
  • 목적: 상폐 피하고, 거래 재개로 주가 회복 노리기.
    커뮤니티에서 "금양 이의신청으로 반등 기대"(@stockfan92) 의견 봤는데, 과연 통할지 궁금해요.

3. 시나리오 분석: 상폐냐, 살아남냐?

3.1. 낙관 시나리오: 상장 유지

  • 조건: 이의신청서에서 계속기업 가능성 입증, 투자 유치 성공(예: 1천억 원 규모).
  • 영향:
    • 거래 재개 후 주가 반등(1만 5천 원 예상, NH투자증권).
    • 시총 1조 원 회복 가능성.
  • 확률: 40% (과거 상폐 이의신청 성공률 30~50%, 금융감독원).
    "이차전지 테마 믿고 버티는 주주들 희소식이 될 수도?"

3.2. 기본 시나리오: 심사 연장 후 불확실성

  • 상황: 심사위가 추가 자료 요청, 결정 6월로 연기.
  • 영향:
    • 거래 정지 장기화, 투자 심리 악화.
    • 주가 변동성↑, 코스피 2,200선 영향.
  • 확률: 50% (한국거래소 "실질심사 강화" 방침, 2025년).
    "시간 끌리면 주주들 애태우겠네…"

3.3. 비관 시나리오: 상장 폐지 확정

  • 조건: 이의신청 기각, 자금 조달 실패(한울회계법인 우려 현실화).
  • 영향:
    • 정리 매매(7일간, 주가 50%↓ 예상, 매일경제).
    • 장외시장 전환, 유동성 급감.
  • 확률: 30% (의견 거절 사례 70% 상폐, 한국거래소 통계).
    "최악엔 5천 원 밑으로 떨어질 수도?"

도표: 시나리오별 전망

시나리오 결과 주가 예상 확률
낙관 상장 유지 1만 5천 원↑ 40%
기본 심사 연장 불확실 50%
비관 상장 폐지 5천 원↓ 30%

4. 한국 경제/주식 시장에 미치는 영향

  • 단기: 금양 상폐 여부로 이차전지 테마주(에코프로 등) 변동성↑, 코스피 2,200선 지지력 테스트.
  • 중기: 상폐 시 투자 심리 위축, 외국인 매도 가능성(4월 초 5조 원 순매도, 한국거래소).
  • 긍정 요인: 트럼프 관세 유예(4/9, Reuters)로 시장 반등 분위기, 금양에 간접 호재.
    "금양 하나로 시장 전체 흔들리진 않겠지만, 주주들 긴장해야겠어요."

5. 대응 전략

저도 금양주식 보유 중이에요.

  • 단기: 이의신청 결과 기다리며 관망, 4월 11일 공시 주시.
  • 낙관 땐: 추가 매수(최대 2천만 원), 반등 노리기.
  • 비관 땐: 정리 매매 첫날 매도, 손실 최소화.... 희망회로를 돌리는 것이 아닌 현실적으로는 상폐까진 안간다고 봅니다.


 

6. 결론: 금양의 운명, 내 손에?

2025년 4월 10일, 금양이 주권 상장 폐지 이의신청서를 제출하며 반전 카드를 던졌어요. 상장 유지되면 주가 1만 5천 원, 실패하면 5천 원 밑으로 갈 수도 있는 상황이에요. 저는 "결과 확인 후 빠르게 대응"으로 마음먹었어요. 금양 주주들, 여러분은 어떻게 하실 건가요? 댓글로 얘기 나눠요!


 

#금양 #상장폐지 #이의신청서 #코스피 #2025주식 #이차전지 #재테크 #환율1450 #투자전략 #주식시장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