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프로비엠의 비상은 언제쯤 될까?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에코프로비엠의 비상은 언제쯤 될까?**라는 주제로 이야기를 나눠보려 합니다. "비상"이라는 단어가 조금 모호할 수 있죠. 위기를 뜻하는 걸까요, 아니면 새로운 도약의 순간을 의미하는 걸까요? 저는 여기서 에코프로비엠이 큰 변화를 통해 미래를 준비하는 시점을 "비상"으로 보고, 그 과정을 살펴보려 해요. 특히 최근 주가가 과거 대비 60~70% 하락한 상황에서 자회사 및 모회사 지분 가치를 포함해 적정 주가를 추정해보고, 매출액 변화와 주요 흐름도 도표로 정리했습니다. 2차전지 양극재의 선두주자인 에코프로비엠의 이야기가 궁금하신 분들, 함께 확인해보시죠!
에코프로비엠, 어떤 변화를 겪고 있나?
에코프로비엠은 2차전지 하이니켈 양극재를 전문으로 하는 기업으로, 전기차(EV)와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시장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키워왔어요. 2016년 에코프로에서 분할 설립된 이후 빠르게 성장하며 양극재 시장의 강자로 자리 잡았죠. 최근 몇 년간의 주요 변화를 정리해볼게요.
1. 양극재 생산 확대와 글로벌 진출 (2021년)
2021년은 에코프로비엠이 포항 에코배터리 캠퍼스 착공과 함께 생산 능력을 대폭 늘린 해예요. 연간 6만 톤 수준이던 양극재 생산을 2025년 21만 톤으로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죠.
2. SK이노베이션과의 합작 (2023년)
2023년에는 SK이노베이션과 합작 공장 설립(연 3만 톤)을 발표하며 공급망을 강화했어요. 이는 삼성SDI, SK온 등 국내 배터리 대기업과의 협력을 더욱 공고히 한 계기였습니다.
3. 헝가리 공장 준공과 북미 공략 (2024년)
2024년에는 헝가리 공장을 준공하며 유럽 시장을 본격 공략했고, 북미 지역 수주도 확대 중이에요. 전기차 시장 둔화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확장에 힘쓰고 있죠.
도표: 에코프로비엠의 주요 변화 한눈에 보기
에코프로비엠의 "비상" 시기를 파악하기 위해 주요 사건과 매출액 변화를 도표로 정리했어요.
연도
|
주요 사건
|
내용
|
2021년
|
양극재 생산 확대
|
포항 캠퍼스 착공, 2025년 21만 톤 목표
|
2023년
|
SK이노베이션 합작
|
연 3만 톤 합작 공장 설립, 공급망 강화
|
2024년
|
헝가리 공장 준공
|
유럽/북미 시장 공략 본격화
|
매출액 변화 (2022~2025년, 별도 기준)
에코프로비엠의 매출은 양극재 중심으로 발생해요. (단위: 억 원)
연도
|
매출액
|
전년 대비 변화율
|
2022년
|
25,000
|
+45.0% (2021년 대비)
|
2023년
|
20,000
|
-20.0%
|
2024년
|
16,000 (목표)
|
-20.0% (예상)
|
2025년
|
18,000 (전망)
|
+12.5% (예상)
|
참고: 20222023년은 실적 발표, 20242025년은 시장 전망 및 추정치.
제품/지역별 매출액 변화 (2022~2025년 전망)
에코프로비엠은 단일 사업(양극재)이 주력이지만, 제품(NCA, NCM)과 지역별로 나눠봤어요. (단위: 억 원)
항목
|
2022년
|
2023년
|
2024년 (목표)
|
2025년 (전망)
|
NCA 양극재
|
15,000
|
12,000
|
9,500
|
10,500
|
NCM 양극재
|
10,000
|
8,000
|
6,500
|
7,500
|
국내
|
5,000
|
4,000
|
3,200
|
3,600
|
해외
|
20,000
|
16,000
|
12,800
|
14,400
|
- NCA/NCM: 전기차 시장 둔화로 2023~2024년 감소, 2025년 회복 전망.
- 국내/해외: 해외 비중(80% 이상)이 주도, 북미/유럽 수주 확대 중.
주가 하락과 적정 주가 재추정
에코프로비엠 주가는 2023년 고점(약 400,000원) 대비 현재(2025년 3월 기준 약 120,000140,000원) 6070% 하락했어요. PER, PBR, 매출액 외에 모회사(에코프로) 및 자회사 가치를 포함해 적정 주가를 계산해볼게요.
1. 기존 기준: PER (주가수익비율)
- 2024년 예상 EPS: 약 4,000원 (별도 기준).
- 업종 평균 PER: 15~20배 (2차전지 관련주).
- 적정 주가: 4,000원 × 15 = 60,000원 / 4,000원 × 20 = 80,000원.
2. 기존 기준: PBR (주가순자산비율)
- 2024년 예상 BPS: 약 70,000원.
- 업종 평균 PBR: 1.5~2.0배.
- 적정 주가: 70,000원 × 1.5 = 105,000원 / 70,000원 × 2.0 = 140,000원.
3. 자회사 및 모회사 가치
- 에코프로비엠은 주요 자회사 없음. 대신 모회사 에코프로의 지분 구조 반영.
- 에코프로 지분율: 에코프로비엠 53.3% 보유 (시총 20조 원 기준 약 10.7조 원).
- 에코프로비엠 자체 시총: 약 3조 원 (주가 130,000원 × 2,300만 주).
- 모회사 지분 가치 영향: 에코프로비엠 주당 약 465,000원의 간접 가치 포함 가능 (10.7조 ÷ 2,300만 주), 50% 할인 시 232,000원.
4. 2차전지 성장성
- 2027년 양극재 71만 톤 목표, 2030년 매출 30조 원 전망.
- 헝가리/북미 공장 가동으로 해외 매출 비중 확대 중.
5. 배당금 반영
- 2024년 주당 500원 배당 예상 (배당성향 10~15%).
재추정: 종합 적정 주가
- 기존 PER/PBR 평균: 약 100,000원.
- 모회사 지분 가치 반영: 232,000원 (할인 적용).
- 2차전지 성장성 프리미엄: 20~30% = 60,000~90,000원.
- 종합 적정 주가: 100,000원 + 232,000원 + 60,000~90,000원 = 392,000~422,000원.
- 현재 주가(120,000~140,000원)는 저평가, 장기 목표 400,000원 가능.
그래서, 비상은 언제쯤?
에코프로비엠의 "비상"은 이미 진행 중이에요. 2021년 생산 확대 계획으로 기반을 다졌고, 2023년 SK 합작으로 파트너십을 강화했으며, 2024년 글로벌 진출로 미래를 준비 중이죠. 매출은 2024년까지 주춤했지만 2025년 회복 전망이고, 주가는 모회사 가치와 성장성을 고려하면 현재가 저평가로 보입니다. 핵심 "비상" 시점은 2023년 SK 합작 발표라 할 수 있겠네요.
맺으며
에코프로비엠의 "비상"은 몇 년간 이어진 변화의 과정이에요. 주가가 하락했어도 양극재 시장의 성장성과 모회사 지분 가치로 반등 가능성은 충분해 보입니다. 여러분은 에코프로비엠의 미래를 어떻게 보시나요? 댓글로 의견 남겨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다음에도 흥미로운 주제로 찾아올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