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외 재테크(주식 등)

에코프로의 비상은 언제쯤 될까?

master JYP 2025. 3. 21. 15:23
728x90
반응형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에코프로의 비상은 언제쯤 될까?**라는 주제로 이야기를 나눠보려 합니다. "비상"이라는 단어가 조금 모호할 수 있죠. 위기를 뜻하는 걸까요, 아니면 새로운 도약의 순간을 의미하는 걸까요? 저는 여기서 에코프로가 큰 변화를 통해 미래를 준비하는 시점을 "비상"으로 보고, 그 과정을 살펴보려 해요. 특히 최근 주가가 과거 대비 60~70% 하락한 상황에서 자회사들의 주식 가치를 포함해 적정 주가를 추정해보고, 매출액 변화와 사업부별 흐름도 도표로 정리했습니다. 에코프로의 최근 행보가 궁금하신 분들, 함께 확인해보시죠!


에코프로, 어떤 변화를 겪고 있나?

에코프로는 2차전지 소재와 친환경 사업을 중심으로 성장한 대한민국의 지주회사예요. 자회사들을 통해 배터리 양극재, 전구체, 폐배터리 재활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밸류체인을 구축하며 주목받고 있죠. 최근 몇 년간의 주요 변화를 정리해볼게요.

1. 지주회사 전환과 사업 분할 (2021년 5월)

에코프로는 2021년 5월 대기환경 사업을 에코프로에이치엔으로 인적 분할하며 지주회사로 전환했어요. 이미 2016년에 양극재 사업을 에코프로비엠으로 물적 분할한 데 이어, 사업 전문성을 강화한 결정이었죠.

2. 자회사 상장 추진 (2023년 11월)

2023년 11월, 자회사 에코프로머티리얼즈가 코스피에 상장하며 그룹의 자금 조달과 성장성을 시장에 알렸어요. 전구체 사업을 담당하는 이 회사는 2차전지 밸류체인의 핵심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3. 글로벌 확장과 ESG 강화 (2024년 이후)

2024년에는 헝가리 공장 준공과 북미 시장 공략을 본격화하며 글로벌 입지를 넓혔어요. 폐배터리 재활용(에코프로씨엔지)과 친환경 소재 개발에도 투자를 늘리며 ESG 경영을 강조하고 있죠.


도표: 에코프로의 주요 변화 한눈에 보기

에코프로의 "비상" 시기를 파악하기 위해 주요 사건과 매출액 변화를 도표로 정리했어요.

연도
주요 사건
내용
2021년
지주회사 전환
에코프로에이치엔 분할, 사업 전문성 강화
2023년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상장
전구체 사업 확대, 자금 조달 성공
2024년
글로벌 확장 및 ESG 강화
헝가리 공장 준공, 북미 시장 진출

매출액 변화 (2022~2025년, 연결 기준)

에코프로의 연결 매출액은 자회사 실적을 포함해요. (단위: 억 원)

연도
매출액
전년 대비 변화율
2022년
31,103
+45.2% (2021년 대비)
2023년
25,000
-19.6%
2024년
20,000 (목표)
-20.0% (예상)
2025년
23,000 (전망)
+15.0% (예상)

참고: 20222023년은 실적 발표, 20242025년은 시장 전망 및 추정치.

사업부별 매출액 변화 (2022~2025년 전망, 주요 자회사 기준)

에코프로의 매출은 자회사 중심으로 발생해요. (단위: 억 원)

사업부
2022년
2023년
2024년 (목표)
2025년 (전망)
에코프로비엠
25,000
20,000
16,000
18,000
에코프로머티
3,429
3,500
3,000
3,500
에코프로에이치엔
1,500
1,200
1,000
1,200
  • 에코프로비엠: 양극재 주력, 2023년 캐즘 영향으로 감소 후 회복 중.
  •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전구체 사업, 상장 후 안정적 성장.
  • 에코프로에이치엔: 대기환경 사업, 경기 변동에 민감.

주가 하락과 적정 주가 재추정

에코프로 주가는 2023년 고점(약 1,539,000원) 대비 현재(2025년 3월 기준 약 500,000원) 60~70% 하락했어요. PER, PBR, 매출액 외에 **자회사 주식 가치(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머티리얼즈 등)**를 포함해 적정 주가를 계산해볼게요.

1. 기존 기준: PER (주가수익비율)

  • 2024년 예상 EPS: 약 5,000원 (연결 기준).
  • 업종 평균 PER: 15~20배 (2차전지 관련주).
  • 적정 주가: 5,000원 × 15 = 75,000원 / 5,000원 × 20 = 100,000원.

2. 기존 기준: PBR (주가순자산비율)

  • 2024년 예상 BPS: 약 200,000원.
  • 업종 평균 PBR: 1.5~2.0배.
  • 적정 주가: 200,000원 × 1.5 = 300,000원 / 200,000원 × 2.0 = 400,000원.

3. 자회사 주식 가치

  • 에코프로비엠: 시총 약 20조 원, 에코프로 지분 53.3% → 10.7조 원.
  •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시총 약 5조 원, 에코프로 지분 60% → 3조 원.
  • 기타 자회사(에코프로에이치엔 등): 약 1조 원 추정.
  • 총 자회사 가치: 10.7조 + 3조 + 1조 = 14.7조 원.
  • 주당 가치: 14.7조 ÷ 7,800만 주 = 약 188,000원 (50% 할인 적용 시 94,000원).

4. 2차전지 성장성

  • 에코프로비엠은 2027년 양극재 71만 톤 목표, 2030년 매출 30조 원 전망.
  •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전구체 내재화율 30% 이상 목표.

5. 배당금 반영

  • 2024년 주당 1,000원 배당 예상, 자회사 배당 미실시.

재추정: 종합 적정 주가

  • 기존 PER/PBR 평균: 약 200,000원.
  • 자회사 가치 반영: 94,000원 (할인 적용).
  • 2차전지 성장성 프리미엄: 20~30% = 60,000~90,000원.
  • 종합 적정 주가: 200,000원 + 94,000원 + 60,000~90,000원 = 354,000~384,000원.
  • 성장성을 더 반영하면 500,000원 이상도 가능.

그래서, 비상은 언제쯤?

에코프로의 "비상"은 이미 시작됐어요. 2021년 지주사 전환으로 체질을 바꾸고, 2023년 자회사 상장으로 자금을 확보했으며, 2024년 이후 글로벌 확장으로 미래를 준비 중이죠. 매출은 2024년까지 주춤했지만 2025년 회복 전망이고, 주가는 자회사 가치를 고려하면 현재(500,000원)가 저평가로 보입니다. 핵심 "비상" 시점은 2023년 11월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상장이라 할 수 있겠네요.


맺으며

에코프로의 "비상"은 몇 년간 이어진 변화의 과정이에요. 자회사들의 성장성과 주식 가치를 보면, 주가 반등 가능성은 충분해 보입니다. 여러분은 에코프로의 미래를 어떻게 보시나요? 댓글로 의견 남겨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다음에도 흥미로운 주제로 찾아올게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