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외 재테크(주식 등)

LG화학의 비상은 언제쯤 될까?

master JYP 2025. 3. 21. 15:24
728x90
반응형

LG화학의 비상은 언제쯤 될까?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LG화학의 비상은 언제쯤 될까?**라는 주제로 이야기를 나눠보려 합니다. "비상"이라는 단어가 조금 애매할 수 있죠. 위기를 뜻하는 걸까, 아니면 새로운 도약의 순간일까? 저는 여기서 LG화학이 큰 변화를 통해 미래를 준비하는 시점을 "비상"으로 보고, 그 과정을 살펴보려 합니다. 특히 최근 주가가 과거 대비 60~70% 하락한 상황에서 적정 주가를 다시 계산해보고, 매출액 변화와 사업부별 흐름도 도표로 정리했어요. 추가로 2차전지 성장성과 LG에너지솔루션 지분 가치도 포함했으니 함께 확인해보세요!


LG화학, 어떤 변화를 겪고 있나?

LG화학은 한국을 대표하는 화학 기업으로, 석유화학부터 첨단 소재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 중이에요. 최근 몇 년은 특히 중요한 전환기를 맞았는데, 주요 사건들을 정리해볼게요.

1. 배터리 사업 분할 (2020년 12월)

LG화학의 "비상" 이야기를 하려면 2020년은 빼놓을 수 없어요. 이 해에 배터리 사업을 분할해 LG에너지솔루션을 독립시켰죠. 전기차 시장 성장에 맞춘 전략으로, 주주 논란 속에서도 성공적으로 마무리됐습니다.

2. 친환경으로의 전환 (2021년 이후)

2021년에는 국내 민간 기업 중 최대 규모로 풍력발전 재생에너지를 확보하며 친환경 사업을 키웠어요. 지속 가능한 소재 개발에도 힘쓰며 환경과 성장을 함께 노리고 있습니다.

3. 신학철 부회장과 첨단 소재 (2019년)

2019년 신학철 부회장 취임과 함께 첨단소재사업본부를 신설했어요. 자동차, IT, 산업용 소재 등 미래 산업을 겨냥한 변화의 시작이었죠.


도표: LG화학의 주요 변화 한눈에 보기

LG화학의 "비상" 시기를 더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주요 사건과 매출액 변화를 도표로 정리해봤습니다.

연도
주요 사건
내용
2019년
신학철 부회장 취임
첨단소재사업본부 신설, 미래 산업 준비 시작
2020년
배터리 사업 분할
LG에너지솔루션 출범, 전기차 시장 집중
2021년
친환경 사업 확대
풍력발전 재생에너지 확보, 지속 가능성 강화

매출액 변화 (2022~2025년, LG에너지솔루션 제외)

LG화학의 매출액은 LG에너지솔루션 분할 이후에도 꾸준히 성장 중이에요. (단위: 억 원)

연도
매출액
전년 대비 변화율
2022년
309,000
+21.8% (2021년 대비)
2023년
266,000
-13.9%
2024년
278,000 (목표)
+4.5% (예상)
2025년
290,000 (전망)
+4.3% (예상)

사업부별 매출액 변화 (2022~2025년 전망)

사업부별 매출 흐름도 살펴볼게요. (단위: 억 원)

사업부
2022년
2023년
2024년 (목표)
2025년 (전망)
석유화학
210,000
180,000
185,000
190,000
첨단소재
85,000
75,000
80,000
85,000
생명과학
14,000
11,000
13,000
15,000

주가 하락과 적정 주가 재추정

LG화학의 주가는 과거 고점(2021년 약 1,000,000원) 대비 현재(2025년 3월 기준 약 350,000400,000원) 6070% 하락했어요. 이전에 PER, PBR, 매출액만으로 적정 주가를 추정했지만, 이번엔 2차전지 성장성LG에너지솔루션 지분율 및 배당금도 반영해서 다시 계산해볼게요.

1. 기존 기준: PER (주가수익비율)

  • 2024년 예상 EPS: 약 15,000원.
  • 업종 평균 PER: 12~15배.
  • 적정 주가: 15,000원 × 12 = 180,000원 / 15,000원 × 15 = 225,000원.

2. 기존 기준: PBR (주가순자산비율)

  • 2024년 예상 BPS: 약 250,000원.
  • 업종 평균 PBR: 1.0~1.5배.
  • 적정 주가: 250,000원 × 1.0 = 250,000원 / 250,000원 × 1.5 = 375,000원.

3. 추가 요소: LG에너지솔루션 지분 가치

  • LG화학의 LG엔솔 지분율: 약 81.8% (2025년 3월 기준, IPO 이후 변동 없다고 가정).
  • LG엔솔 시가총액: 2025년 3월 기준 약 80조 원 (주가 340,000원 × 발행주식 2.34억 주).
  • LG화학 보유 지분 가치: 80조 × 81.8% = 약 65.4조 원.
  • LG화학 발행주식 수: 약 7,800만 주.
  • 주당 지분 가치: 65.4조 ÷ 7,800만 = 약 839,000원.

4. 2차전지 성장성

  • LG엔솔은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세계 2위(점유율 약 20%)를 유지하며, 2030년 매출 100조 원 전망.
  • 최근 46시리즈 배터리 수주(10GWh) 등으로 2028년 EBITDA 마진 10% 중반 목표.
  • LG화학은 LG엔솔 지분 외에도 자체 첨단소재(양극재 등) 사업으로 연 17만 톤 생산 목표(2025년).

5. 배당금 반영

  • LG화학은 2024년 주당 1,000원 배당(배당성향 20% 목표 유지).
  • LG엔솔은 아직 배당 미실시, 하지만 향후 배당 시 LG화학에 추가 수익(예: 연 1,000억 원 추정).

재추정: 종합 적정 주가

  • 기존 PER/PBR 평균: 약 300,000원.
  • LG엔솔 지분 가치 반영: 주당 839,000원 중 할인율 50% 적용(시장 변동성 고려) = 420,000원.
  • 2차전지 성장성 프리미엄: 10~20% 추가 = 약 50,000~100,000원.
  • 종합 적정 주가: 300,000원 + 420,000원 + 50,000~100,000원 = 770,000~820,000원.
  • 현재 주가(350,000~400,000원)는 저평가 상태로 보이며, 장기적으로 800,000원 수준 회복 가능성 있음.

그래서, 비상은 언제쯤?

LG화학의 "비상"은 이미 진행 중이에요. 2019년 조직 개편으로 기반을 다졌고, 2020년 12월 배터리 분할로 큰 전환점을 맞았으며, 2021년 이후 친환경 전략으로 미래를 준비하고 있죠. 매출액은 2023년 둔화 후 2024~2025년 회복세로 돌아섰고, 주가는 LG엔솔 지분 가치와 2차전지 성장성을 반영하면 현재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 적정해 보여요. 핵심 "비상" 시점은 2020년 12월이라 할 수 있겠네요.


맺으며

LG화학의 "비상"은 몇 년간 이어진 변화의 과정이에요. 주가가 하락했어도 LG엔솔 지분, 2차전지 성장성, 매출 회복으로 반등 여지는 충분합니다. 여러분은 LG화학의 미래를 어떻게 보시나요? 댓글로 의견 남겨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다음에도 유익한 주제로 찾아올게요!

#LG화학 #비상 #주가분석 #2차전지 #LG에너지솔루션 #매출액 #친환경 #첨단소재 #투자 #경제

728x90
반응형